교사 월급(연봉, 유치원, 초등, 중등, 고등) - 2023년
교사 개요 교사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정한 법령에 따라 자격증을 갖추고 학생에게 국가에서 지정한 과목, 종목의 교육 이수의 과정에서 이끌어주거나 도움을 주거나 설명을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과거 한국에서는 유교적인 사고관에 의해 교사를 임금, 국가, 부모와 같은 위치로 간주하기도 했었으며, 학생과 부모에게 존경받는 직업이었습니다. 현재는 낮아진 출산율과 낮은 임금상승률, 공무원연금 하향, 떨어진 교권 등으로 이전보다 지원자 수가 줄었고 인기도 떨어졌지만 그럼에도 아직 인기가 많고 대중에게 인식이 좋은 직업입니다. 사도헌장(師道憲章) - 스승이 나아갈 길을 밝힌 헌장 오늘의 교육은 개인의 성장과 사회의 발전과 내일의 국운을 좌우한다. 우리는 국민 교육의 수임자로서 존경받는 스승..
2023. 8. 31.
장교 월급(소위, 중위, 대위, 소령) - 2023년
장교란? 장교는 한국군에서 위관급 이상의 계급의 간부를 말합니다. 부사관과 병을 지휘하는 계급으로 사관학교나 일반대학교 재학자 또는 졸업자들 가운데 선발됩니다. 장교와 대응되는 상대어는 사병으로서 부사관과 병을 일컬으며, 장교와 사병을 함께 장병이라 부른다. 과거 군대를 지휘하는 장군, 장수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장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신분제 시대에서 장교는 무조건 귀족만 임관이 가능한 엘리트 집단이었습니다. 장교는 사관학교, 3사, 학군, 학사,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대상자 그리고 자신의 경험과 전공을 살리면서 복무할 수 있는 간부사관, 전문사관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장교로 임관하여 복무할 수 있습니다. 장교의 계급 장교는 위관급 이상의 계급을 지닌 신분입니다. 병과 부사관을 명령하는 계급으로, 그..
2023. 8. 19.
준위 월급 - 2023년
준위(준사관)란? 준사관은 군대 계급 중 하나로서, 대한민국 국군에서의 준사관은 사관 즉 장교 바로 아래, 부사관의 바로 위에 속해 장교급의 대우를 받는 간부급 군인을 말합니다. 준사관은 보통 준위와 사관생도를 말합니다. 국군의 경우 현행법령상 사관생도는 사관학교설치법 시행령 제2조 제3항에 의거하고, 준위는 민간인이 시험을 쳐서 임관할 수 있고, 부사관(원사, 상사, 중사, 하사)의 경우 상사 이상의 계급에서 시험에 합격해야만 준위로 진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행법령상 준위와 사관생도가 준사관의 분류 군(群)에 속합니다. 다만 준위와 사관생도와 동일한 예우를 받지는 않고, 준위가 사관생도보다 상위의 계급에 속합니다. 현재 육, 해, 공 준위 인원은 약 6,000명 수준입니다. 기술/행정 준위 시험..
2023. 8. 19.
부사관 월급(하사, 중사, 상사, 원사) - 2023년
부사관이란? 부사관은 군대에서 장교와 병사 사이에 있는 계층의 간부로서 하사/중사/상사/원사의 계급을 가진 육/해/공군의 군인을 가리킵니다. 부사관은 통상 육군의 분/소대와 같은 규모의 집단을 지휘하거나, 전투기본교육, 보급/정비, 행정, 부대관리 등의 기술과 숙련을 요하는 분야에서 전문가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각급 제대의 지휘관을 보좌하며, 후배 부사관 및 사병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군의 최일선 초급간부로서 법령, 규칙, 계획 등의 범위 내에서 일상적이고 규칙적인 업무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감독, 지시, 통제 또는 직접 수행하는 기능적 요원입니다. 임관 및 직급 부사관이란 국가공무원으로 직업군인을 선택하여 지원 합격한 사람 중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고 하사로 각 군에 임관된 사람을 말합..
2023. 8. 19.